원가를 잘못 알고 있는 기업이 겪게 되는 문제
- quickcost
- 2023년 5월 21일
- 1분 분량

정확한 원가를 알지 못하는 경우 기업은 원가를 높게 혹은 낮게 판단하게 됩니다.
이런 기업은 어떤일을 겪게 될까요?
1. 원가를 높게 판단하였을 때
원가를 과대평가하는 경우, 기업에는 다음과 같은 영향이 생길 수 있습니다.
가격 경쟁력 저하: 잘못된 원가 정보로 인해 제품의 가격을 높게 책정하면 경쟁사와 비교하여 가격 경쟁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. 이는 시장 점유율 감소와 매출 감소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.
손익분기점 오류 : 원가가 실제보다 높게 계산되면 손익분기점이 잘못 설정될 수 있습니다. 이로 인해 기업이 이익을 올리기 위해 달성해야 하는 매출액이 과도하게 설정되어 오히려 손실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.
투자 결정의 오류: 과대평가된 원가 정보로 인해 기업 내부의 투자 결정이 왜곡될 수 있습니다. 예산 분배, 새로운 제품 개발, 투자 계획 등의 의사 결정에 오류가 생기면 기업의 장기적인 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.
고객 이탈: 부당하게 높은 가격을 부과하면 고객의 만족도가 저하되고 이로 인해 고객 이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 이는 장기적으로 매출 감소와 이익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.
2. 원가를 낮게 판단하였을 때: 원가를 과소평가하는 경우, 기업에는 다음과 같은 영향이 생길 수 있습니다.
이익 오버평가: 원가가 실제보다 낮게 계산되면 실제 이익을 과대평가할 수 있습니다. 이로 인해 기업은 성장 가능성을 과대평가하고, 투자자와의 신뢰를 잃을 수 있습니다. 또한, 잘못된 이익 정보에 기반한 의사 결정은 기업의 재무 건전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.
제품 가격 결정 오류: 낮게 판단된 원가 정보로 인해 제품의 가격이 과소 책정될 수 있습니다. 이는 이익률을 감소시키고 기업의 경쟁력을 약화시킬 수 있습니다.
생산 능력 과중 평가: 잘못된 원가 정보로 인해 생산 능력을 과대평가할 수 있습니다. 이는 비효율적인 자원 배분과 생산 과부하를 초래하여 생산성 저하와 고정 비용의 낭비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.
제조원가는 기업의 핵심 지표 중 하나로, 올바르게 판단되지 않는다면 기업의 성장과 이익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. 따라서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원가 정보를 확보하고, 이를 기반으로 효과적인 의사 결정과 전략 수립을 진행해야 합니다.
Comments